top of page

키르벳 엘-마카티르, 신약의 에브라임



키르벳 엘-마카티르에 대한 조사의 역사


키르벳 엘-마카티르에는 네 개의 시대의 주거 흔적이 있다.

  1. 아모리인들의 청동기 시대의 요새

  2. 이스라엘이 후기 사사기 시대(철기 시대 IA I-II)에 거주한 마을

  3. 신약 시대인 후기 헬라/초기 로마 시대의 작은 도시

  4. 비잔틴 시대의 수도원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ABR)는

2010년 이전까지 주로 청동기 시대의 요새를 집중적으로 발굴했는데

이것은 중기 청동기 III(MB III)시대의 기원전 1550년에 나타나서

후기 청동기 I(LB I) 시대의 끝무렵인 기원전 1400년에 크게 무너진 것이었다.


2010년부터는 이 지역의 다른 부분에 대한 중요한 발굴이 시작되었다.

쌓여진 잔해의 약 2미터 아래에서 예수님 시대의 도시가 드러났는데

그 발견은 매우 놀라운 것이었다…

이곳은 그동안 발견되지 않은 고대의 도시들 중 하나로 여겨졌는데

그중에서 에브라임이 가장 흥미로운 후보지였다.

많은 고대의 자료들이 에브라임을 언급하고 있다.


신약 성경의 에브라임


예수님께서 베다니(현대의 el Aazaria)에서 죽은 나사로를 살리신 후에,

요한복음의 이야기는 급속하게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으로 이동한다.

유대인 지도자들은 나사로의 부활에 기뻐하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고대했던 메시아로 여기는

갈릴리 출신의 선지자인 예수님을 어떻게 죽일 수 있을지를 모의했다.

공관복음은 이 부분에 대하여 기록하지 않았으나,

요한복음 11:53-54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이 날부터는 그들이 예수를 죽이려고 모의하니라

그러므로 예수께서 다시 유대인 가운데 드러나게 다니지 아니하시고

거기를 떠나 빈 들 가까운 곳인 에브라임이라는 동네에 가서

제자들과 함께 거기 머무르시니라

요한복음 11:53-54


예수님과 제자들이 이곳에 얼마나 계셨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머무르시니라"라는 기록을 보면

며칠 또는 몇 주나 그 이상 계셨을 수도 있다…

기원후 33년의 유월절이 다가오면서 예수님과 제자들은 에브라임을 떠나

그들의 마지막 여정, 사마리아를 지나서 올라갔다가

요단 계곡을 통하여 여리고에 이르렀다.

그들은 여리고에서 예루살렘으로

승리의 입성(the Triumphal Entry, 마 21)을 위하여 가시면서

중간에 베다니에 마지막으로 들르셨다(요 12).

에브라임에서 머문 사건은 간과될 수 있지만

예수님의 공생애에서 중심이 되는 역할을 한다.


구약 성경의 에브라임


“아비야가 여로보암을 쫓아가서 그의 성읍들을 빼앗았으니

곧 벧엘과 그 동네들과 여사나와 그 동네들과 에브론과 그 동네들이라”(역대하 13:19).


RSV 성경은 에브론에 대하여 이것을 에브라인으로 읽을 수 있다는 각주를 달았다.

이것은 요한복음 11:53-54에 나오는 에브라임과 같은 도시임이 거의 확실한데,

특히 에브론이 벧엘과 함께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이 두 지명이 짝을 이루는 것은

1세기 역사가인 요세푸스의 기록에서도 발견된다.

만약 에브론이 에브라임과 같다면,

이곳에서 기원전 915년 경, 르호보암의 아들 아비야 시대 마을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에브라임으로 여겨졌던 타이베에서

이 시대인 철기 I~II 시대의 질그릇 조각 2개가 발견되엇는데

전체 도자기 조각의 3%에 불과하다.

키르벳 엘-마카티르에서는 다음 세대까지 지속되는 것들이 발견되었는데

철기 시대의 도기 조각들에 대해서는 조금 더 면밀히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 요세푸스는 유대전쟁사 4.9.551에서 에브라임에 대하여 언급했다.


그래서 그(베스파시아누스)는 산지로 올라가서 고프니틱과 아크라바테네라 불리는 두 곳을 점령했다.

그후에 그는 벧엘과 에브라임, 두 소도시를 점령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기원후 67년에 북쪽 지역으로,

68년에 동쪽 지역으로 군사 작전을 시행한 후에,

69년에는 이스라엘의 중앙, 예루살렘의 북쪽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예루살렘에 온전히 집중하기 전에 남아 있는 반란 지역을 모두 지워버리고자 했다.

키르벳 엘-마카티르의 발굴 결과 이 도시는 기원후 69년에 무너졌다.

이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이후에 더 깊이 논의할 것이다.

위 지도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군사작전 중에 그는 벧엘과 에브라임에 이르게 된다.

중요한 것은, 요세푸스가 에브라임을 벧엘과 짝지어서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하다.


첫째로, 창세기와 여호수아에서 벧엘은 항상 아이와 짝으로 나온다(창 12-13; 수 7-8).

이 짝은 제2차 성전 시대까지도 계속된다(스 2:28; 느 7:22).

둘째로, 1995년 이래로 ABR은 키르벳 엘-마카티르가 여호수아 7-8장에 나오는

아이 성읍/요새라고 강력하게 주장해 왔다.

만약 ABR이 맞다면 요세푸스가 벧엘과 에브라임을 짝지어 언급하는 것이 이해가 된다.

요세푸스의 고대사 13:127에서 그는 에브라임을 언급했는데

그곳을 아패리마(Aphaerima)라고 말했다.


따라서 나(드미트리우스 2세)는 그들에게 사마리아에서

유대로 추가된 세 구역, 아패리마와 룻다와 라마다 및 그에 부속된 것들을 준다(또는 면제해 준다).


이것을 보면 아패리마/에브라임은 드미트리우스 2세(기원전 145-141년) 시대와 대제사장이었던

요하난 마카비(기원전 152-142년)의 시대에 중요한 도시였다는 것이 확실하다.

요하난은 다음 구절에서 언급되고 있다.

두 사람이 다스리던 시대가 겹치는 때는 기원전 145-142년이다.

드미트리우스 2세와 같은 셀루시드 통치자가 아패리마(에브라임의 헬라식 이름)를

택한 것은 이해가 된다.

같은 이야기가 마카비1서 11:28-37에 나온다.



유세비우스의 에브라임


4세기의 위대한 교회 역사가였던 유세비우스는

그의 오노마스티콘(Onomasticon)에서 에브라임을 세 번 언급했다…


28:4 “오브라 - 베냐민 지파의 소유 안에 있다.

아파레마(에브라임?)은 벧엘 동쪽 5마일(7.4km)에 있다.


학자들은 유세비우스가

여호수아 18:23의 오브라를 타이베로 보고 있다는 것에 일반적으로 동의한다.

이것은 나중에 다시 다룰 것이다.

유세비우스가 이렇게 연결시킨게 맞다면 그의 시대에 이런 전통이 있었을 것이다...

타이베는 벧엘에서 약간 동쪽에 있지만, 훨씬 더 북쪽에 위치한다.

반면에 키르벳 엘-마카티르는 벧엘의 정동쪽 또는 약간 동남쪽에 위치하는데,

이것은 벧엘이 W.F. 알브라이트와 제임스 켈소 및 다수의 학자들을 따라 베이틴인가,

아니면 데이빗 리빙스턴의 이론을 따라 엘-비레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86:1 “에브론 - 유다 지파의 지경.

에브라임은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대략 20마일(30km)에 있는 매우 큰 마을이다.


유세비우스가 이 도시 또는 큰 마을이 유다 지파의 영토 안에 있다고 한 것은 틀렸다.

이것은 그가 중앙 산지에 대한 기본적인 성경 지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그는 이곳이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대략” 20 로마 마일에 있다고 했다.

“대략"이라는 것은 추정치를 의미한다.

이 거리는 키르벳 엘-마카티르보다는 타이베에 맞는 거리다.

노틀리와 사래는 이 항목이 이전 항목과 다른 저자가 적은 것이라는 증거를 보았다.

처음 항목은 저자가 벧엘에서 에브라임까지의 거리를 말했지만,

여기서는 에루살렘에서 거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 이상해 보인다.

학자들은 대하 13:19의 에브론이

오브라와 에브라임과 같은 장소인가에 대하여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사실 오브라와 에브론은 동시에 둘 다 존재했을 수 있다...

오브라가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곳은 삼상 13:15-20으로 대략 기원전 1040년경이다.

반면 에브론은 오직 대하 13:19에만 언급되는데 기원전 915년경이다.

알브라이트는 에브론이 에브라임과 같은 곳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에브론이 오브라와 같은 것이지만, 에브라임은 별개의 장소로 본다…

1세기의 자료(신약 성경과 요세푸스)에 더 무게를 두어야 하며,

고고학적 발견 역시 크게 고려되어야 한다.



외경의 에브라임


에브라임/에브론은 마카비1서 5:46-48과 마카비2서 12:27에 나온다.

두 경우 모두 요단강에서 동쪽으로 9마일, 벧 샨/스키토폴리스 맞은편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 도시는 우리가 살펴보는 도시와 전혀 관련이 없다…



마다바 지도 위의 에브라임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에브라임의 위치가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6세기의 유명한 마다바 지도에서 이 도시는 “주께서 방문하신 도시"라는 설명이 붙어있기 때문이다.

위 사진에서 에브라임의 위치를 볼 수 있지만, 이것을 통해서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주목할 점은 에브라임이 키르벳 엘-마카티르처럼 벧엘의 정동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타이베는 더 북동쪽에 있다.

마다바에서 이 지도를 제작한 사람은 타이베가 에브라임과 같다는

전승에 대해서 들어보지 못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이 지도에서 여리고와 에브라임은 바로 옆에 나란히 위치해 있고

그 사이에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만약 ABR이 여호수아서의 아이를 키르벳 엘-마카티르로 본 것이 맞다면 중요한 점이 된다.



에브라임은 타이베인가 아니면 키르벳 엘-마카티르인가?

타이베의 기독교적 기원은 비잔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성 조지 그리스 정교회가 증거하는 것이다.

이 교회는 오늘날 웨스트뱅크의 후대 기독교 도시 가운데 있다.

이와 비슷하게, 키르벳 엘-마카티르의

서쪽 산등성이에서 기원전 4세기의 기념교회와 수도원이 발굴되었다.

불행히도 모자이크는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그들이 어떤 성경적 사건을 기념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없다.

성조지 교회에는 성경적 사건과 연결지을 수 있는 어떤 비문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단순히 교회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타이베나 키르벳 엘-마카티르를 신약의 에브라임으로 보기 힘들다.

비잔틴 시대에 타이베를 에브라임으로 본 것은

온전히 지명학(지명의 이름을 연구하는 것)과 전통에 의거한 것이며,

후대의 아랍인들과 십자군들에게 그대로 전해졌고,

현대에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다.

예를 들면 13세기 십자군 역사가는 타이베를 에프라온이라고 언급했다.

그동안 이것에 의문을 제기할 이유는 없었다.

(타이베를 에브라임으로 보는) 이 연결의 문제점은 고고학적인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타이베를 에브라임으로 보는 학자들은

타이베에서 제2차 성전 말의 흔적이 없다는 점 때문에 그 주장을 굽히지는 않았다.

많은 학자들은 지명과 전통을 토대로 그것을 주장한다.

그래도 여전히 남아있는 질문은 그것을 뒷받침할 고고학적 증거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ABR은 키르벳 엘-마카티르에서

기원전 2세기 하스모니안 왕조 때에 세워진 강한 요새 도시를 조직적으로 발굴하기 시작했다.

도시는 기원전 69년에 무너질 때까지 사용되었다.

도시가 무너진 것은 로마의 제10군단에 의하여 무너진 것으로 보인다.

이 연도는 도자기와 동전들과 C-14 탄소연대측정법으로 나온 것이다. 686개의 동전이 발굴되었는데,

(연대별로 보면) 기원전 2세기에 급격하게 증가했다가

기원후 69년의 것으로 갑자기 끝나는데,

그 해에 만들어진 것은 제1차 유대반란의 동전 3개였다.

요한복음 11장 54절에서 예수님이 나사로를 살리신 후와

예루살렘에 입성하시기 전에 피난하신 곳을 가리키는 말로 헬라어 폴리스가 사용되었다.

폴리스는 보통 (요새화된) 도시를 가리키고,

(요새화되지 않은) 마을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에브라임으로 볼 수 있는 곳은

초기 로마의 유적만이 아니라 요새화된 흔적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키르벳 엘-마카티르의 기념비적인 탑은

약 30미터x16미터 크기로 다른 후기 헬라 시대의 요새들과 비슷하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그 비문을 통해 기원전 100년경의 것으로

알려진 것이 터키의 남쪽 해안 디오카이사레아에 있다.

이 탑은 15.6미터x12.5미터로 키르벳 엘-마카티르와 마찬가지로 성벽에 붙어 있었던 것이다.



새로운 공성 공격 기술의 발달로 탑들은 탄도 공격과 반공성 기계의 반동을 견뎌야 했다…

키르벳 엘-마카티르와 달리 타이베에서는 이런 특징이 존재하지 않는다.

공정하게 말하자면 타이베의 현대 도시로 인하여 고대의 흔적을 찾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만 2차로 사용된 증거나 흔적들을 찾아보는 것은 가능하다.

오늘날까지 이런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키르벳 엘-마카티르에서 1세기에 파괴된 흔적은

매우 정확하게 기원전 69년을 가리킨다.

이 논의에서 이것은 매우 중요한 점인데,

그것은 이 해가 요세푸스가 말한 에브라임이 무너진 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키르벳 엘-마카티르가 에브라임이라는 것에 대항 강력한 증거가 된다.

타이베에서 66개의 토기조각이 발견되었느데

그 중에서 오직 3개만, 전체의 4.5%의 토기만이 로마 시대의 것이고,

후기 청동기 시대의 것은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키르벳 엘-마카티르에서는 매일 수백개의 초기 로마 시대(기원후 1세기)의 토기조각이 발견되었고,

후기 헬라 시대(기원전 1세기)의 토기조각도 수백개가 발견되었다.


흥미롭게도, 키르벳 엘-마카티르에서는 기원전 1세기와

기원후 1세기 유대 지역의 전형적인 정결례용 돌그릇들이 발견되었다.

2014년 5월까지 81개가 발견되었으나, 타이베에서는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다.

요한복음에서 말하는 에브라임의 ‘폴리스'는 유대인 역사에서 정결례가 중요시되던 이 시기에 거기에 사용된 돌그릇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어야 한다.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여호수아 18:23에 따르면,

오브라는 베냐민 지파의 땅 안에 있지만, 타이베는 에브라임 지파의 땅에 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지파의 경계가 유동적이었지만, 베냐민 지파가 북쪽까지 확장되었다는 기록은 없다.

이스라엘의 초기 역사에서 에브라임(여호수아의 지파)이 우세했고,

사사들의 시대에 베냐민 지파가 축소된 것(삿 20:43-48)을 생각하면 알 수 있다.

게다가 삼상 13:17은 오브라를 베냐민 지파의 땅으로 보고 있다.

“노략꾼들이 세 대로 블레셋 사람들의 진영에서 나와서

한 대는 오브라 길을 따라서 수알(사울) 땅에 이르렀고”.

중요한 점은 학자들이 어원적인 주장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빌 쉴레겔은 이렇게 지적했다. “오브라는 ‘아인'으로 시작하고 에브라임은 ‘알레프'로 시작한다.

그러므로 언어학적으로 둘은 다르다…”

알브라이트는... 요한복음 11:53-54의 에브라임과 타이베가 같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게다가 후기 청동기 I 시대의 도자기조각의 부재는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여호수아 18:23에 나오는 (청동기 시대의) 도시의 흔적은 어디로 갔나?

타이베에서 청동기 I 시대의 흔적이 없기 때문에

그곳이 오브라라는 전통을 지지할 근거는 없다….



결론


타이베 = 오브라 = 에브라임은 면밀히 검토해 보면 틀린 주장이다.

그러나 키르벳 엘-마카티르는 요새화된 도시로서

요세푸스가 에브라임이 무너진 것으로 기록한 연도와 같은 연도에 무너졌고,

훌륭한 후보지다.


위에서 논의한 내용은 키르벳 엘-마카티르가 예수님과 열두 제자가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 이전에 피하여 머문 도시라는 것을 증명하기에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현재의 타이베 = 오브라 = 에브라임이라는 주장의 약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키르벳 엘-마카티르가 제2차 성전시대 말의 에브라임이라는 강력한 증거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서 더 많은 발굴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y Scott Stripling

출처: https://biblearchaeology.org/images/articles/2014_Fall_BAS_Stripling_article_final.pdf

참고: https://biblearchaeology.org/current-events-list/4254-digging-joshua-s-ai-and-searching-for-jesus-ephraim

Khirbet_el-Maqatir_A_Biblical_Site_on_th.pdf


유적 위치: https://www.holylandsite.com/ai-tel-khirbet-el-maqatir


발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T5u4xIRJ7M


발굴 리포트:

http://www.bibleinterp.com/PDFs/BibleInterp_2013_report.pdf

https://www.bibleinterp.com/PDFs/Scott4.pdf